본문 바로가기
경제,비지니스,코인

트럼프, 무역전쟁에서 물러서나? 월가의 베팅과 시장의 반응 분석

by 잡학창꼬 2025. 4. 26.


 다시 돌아온 트럼프의 무역정책… 이번엔 달라질까?

최근 미국 증시가 놀라운 반등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단기간에 나스닥이 4일 연속, 6% 넘게 오르면서 시장 분위기가 크게 바뀌었죠. 그 중심엔 우리가 너무 잘 아는 이름이 있습니다. 바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입니다.

그동안 ‘무역 전쟁’ 하면 트럼프를 떠올렸지만, 이번엔 조금 다른 흐름이 포착되고 있습니다. 시장은 트럼프가 예전처럼 마냥 강경하게 밀어붙이기보다는, ‘협상 테이블’에 복귀하려는 의지를 읽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 변화가 어떤 배경에서 나왔는지, 시장은 왜 이렇게 민감하게 반응하는지, 그리고 우리는 이 시기에 어떤 투자 전략을 고민해봐야 할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시장은 트럼프의 ‘말’을 듣고 반응했다

최근 미국 증시는 마치 기다렸다는 듯이 강하게 튀어 올랐습니다. S&P 500 지수는 2% 넘게 상승했고, 나스닥은 무려 2.74% 급등하며 하루 만에 큰 폭의 반등을 보여줬죠.

특히 4거래일 연속 6% 이상 상승하는 흐름은 흔치 않습니다. 그만큼 시장이 기대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왜 반등했을까?

바로 트럼프가 **“중국과의 협상 가능성”**을 언급했기 때문입니다. 그간 ‘관세 폭탄’을 터뜨리며 미중 관계를 악화시켜온 장본인이 입장을 살짝 바꾸자, 시장은 이를 **‘무역 갈등 완화의 시그널’**로 받아들였습니다.

이건 단순한 정치 발언이 아니에요. 무역 정책의 방향 전환은 곧 기업 수익과 글로벌 공급망, 소비자 가격에 직접 영향을 주는 문제이기 때문이죠.

2️⃣ 왜 지금? 트럼프가 달라진 이유

트럼프가 갑자기 태도를 바꾼 데에는 몇 가지 배경이 있습니다. 모두 국내 상황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요.

▪️ 지지율 하락 압박

최근 여론조사에서 트럼프의 지지율은 38%까지 떨어졌습니다. 경제 운용에 대한 긍정 평가는 37% 수준. 재선을 노리는 트럼프 입장에서는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수치입니다.

▪️ 기업들의 우려 표출

월마트, 타깃 등 대형 유통업체 CEO들이 직접 트럼프에게 경고장을 날렸습니다. “이대로 가면 2주 안에 매장 물건 품절되고, 소비자 가격은 폭등할 것”이라는 거죠. 이는 트럼프의 핵심 지지층인 중산층 소비자에게도 큰 타격입니다.

▪️ 경제 지표도 안 좋다

표면적으로는 괜찮아 보여도 속을 들여다보면 분위기가 심상치 않습니다. 골드만삭스는 1분기 미국 GDP 성장률 전망치를 -0.2%로 낮췄고, 실제 소비자 지표도 기대 이하입니다. 더 버티면 ‘경제 실책’ 이미지가 굳어질 수 있습니다.

결국, 정치와 경제 양쪽에서의 압박에 밀려 ‘전략적 후퇴’가 필요했던 시점이었던 거죠.

3️⃣ 시장은 움직였고, 기업도 반응했다

트럼프의 말 한마디에 시장은 빠르게 반응했습니다. 월가는 즉시 리스크 완화에 베팅했고, 기술주 중심으로 주가가 반등하기 시작했죠.

▪️ 알파벳(구글 모기업), 실적 상승

1분기 실적이 전년 대비 12% 증가하면서, 시간 외 주가가 4% 넘게 상승했습니다. 실적이 기대치를 웃돌면서 기술주 전체에 긍정적 신호를 보냈습니다.

▪️ 금리 기대 변화

연준(Fed)도 움직였습니다.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는 3월과 달리 금리 인하 가능성을 언급하며 시장 안정을 도왔고,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7bp 하락했습니다.

▪️ CTA 펀드의 매수 진입

트레이딩 알고리즘 기반 펀드들도 강세장을 예고하며 매수 시그널을 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시장은 ‘진짜 반전’이 올지 주시 중입니다.

4️⃣ 중국의 뜻밖의 유화 제스처

재미있는 건 중국도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는 점입니다. 중국은 최근 미국산 반도체에 대해 125% 보복관세 부과를 유예할 수 있다는 신호를 보냈습니다.

이는 단순한 제스처가 아닙니다. 중국도 경기 회복이 절실한 상황이기에, 미국과의 충돌보다는 **‘관리 가능한 협력 관계’**가 필요해졌다는 뜻이죠.

트럼프가 손을 내밀었고, 시진핑은 그 손을 ‘받을 준비가 되어 있다’는 신호를 보낸 셈입니다.

5️⃣ 투자자에게 남는 질문: 진짜일까?

이쯤 되면 투자자 입장에선 고민이 생깁니다.
“트럼프, 이번엔 진짜 태도를 바꾼 걸까? 아니면 또 전형적인 전략일 뿐일까?”

정답은 아무도 모릅니다. 하지만 분명한 건 시장은 지금 ‘기대 반, 의심 반’ 상태라는 거예요.

주의할 점도 많습니다

  • 도이치뱅크는 S&P500의 올해 EPS(주당순이익) 전망치를 282 → 240달러로 하향했습니다.
  • 자사주 매입 시즌이 오면서 주가 상승 압력이 강해질 수 있지만, 실물 지표가 받쳐주지 않으면 금세 꺼질 수 있습니다.

 말보다 중요한 건 ‘행동’

트럼프의 한마디에 증시가 요동치는 이유는 그가 여전히 미국 경제의 중요한 변수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말은 누구나 할 수 있고, 실제로 관세를 얼마나 완화할지, 협상이 얼마나 진전될지는 아직 불확실합니다.

그래서 투자자에게 중요한 건 트럼프의 말이 아니라, 그 말이 현실이 되는지를 체크하는 냉정함입니다.

당장 급하게 매수보단, 움직임을 지켜보며 유연하게 포지션을 조정하는 지혜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트럼프무역정책 #미중관세 #경제지표분석 #주식시장흐름 #기술주랠리 #투자전략 #금융시장리스크